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fanout on read
- 항플 후기
- 항플
- 프로토타입 빈
- 항해플러스
- 빈 스코프
- 항해+
- 항해플러스 회고
- 항해 후기
- TDD
- 생성 패턴
- 디자인 패턴
- fanout on write
- pull model
- 데이터 쿼리
- 항해플러스 후기
- 항해플러스 백엔드
- 피드 구현
- push model
- 순차지향
- 기능 테스트
- 항해 백엔드
- 항해 플러스 후기
- 항해
- 싱글톤 빈
- OOP
- 항해플러스후기
- API Aggregation
- 항해플러스백엔드
- 항플 백엔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fanout on read (1)
deVlog
Fanout On Write (Push Model) vs Fanout On Read (Pull Model)
목차 Fanout On Write 와 Fanout On Read 은 주로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아래에서 두 방식의 차이를 알아보자. Fanout On Write (Push Model)Push Model은 주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된다. 데이터를 생성하는 순간 즉시 모든 구독자에게 데이터를 푸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주요 사용 사례채팅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면, 그 메시지가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슬랙(Slack) 등의 메시징 앱에서 이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실시간 알림 시스템: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알림을 전달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뉴스 앱의 속보 알..
🛠️ Software Architecture
2024. 8. 30. 16:31